원주시 룸싸롱 관광2

원주시 룸싸롱 관광2

안녕하세요
원주시 룸싸롱입니다.
오늘은 원주 8경 중 제 2경 강원감영에 대해 한번 소개하고자 합니다.

강원감영 이야기

강원감영은 조선시대 강원도 관찰사가 직무를 보던 관청이다.
조선왕조는 1395년 강릉도와 교주도를 합하여 강원도라 하고, 강원도의 수부를
원주로 정하여 강원감영을 설치하였다.
강원감영의 건물들은 1592년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으나, 1634년 원주목사 이배원이 재건하기 시작한 후, 여러 목사와 관찰사들이 계속 건설하였다.
강원감영은 선화당을 비롯하여 포정루, 보선고, 내아, 비장청, 호적고 등 40여 동에 달하는 웅장한 모습으로 1395년부터 1895년까지 500년 간 강원도 역사창조의 중심역할을 하였으나,
1895년 조선 8도 제도를 23부 제도로 개편함에 따라 그 기능을 상실하였다.
1896년 이후 강원감영 건물은 원주 진위대 본부로 사용하였고,
1907년 진위대가 해산된 후에는 원주군청으로 사용되었다.
40여동의 화려한 건물로 이루어졌던 강원감영은 1895년 이후 대부분의 건물들은 없어지고 선화당을 비롯하여 포정루, 내아 등 몇 동의 건물만 남게 되었다.
강원도와 원주시는 500년 강원도의 수부로서 강원도를 관할하였던 귀중한 문화 유산인 강원감영을 복원하기로 하고, 2000년부터 복원작업을 시작하여 2005년까지 선화당, 포정루, 중삼문, 내삼문, 내아, 행각 등 강원감영의 일부만을 복원하였다.

관찰사란?

조선시대 각 도에 파견된 지방장관이며, 감사라고도 한다.
13도에 각 1명씩 두었으며, 병마절도사, 수군절도사의 무관직을 거의 겸하고 있었다.
고려 말기에는 안렴사, 관찰출척사라 하였고, 조선 초기에는 안렴사, 관찰사, 관찰출척사 등의 이름으로 자주 바뀌었으며 관찰사로 굳어진 것은 7대 세조 때부터였다.
중요한 정사에 대해서는 중앙의 명령을 따라 실행하였지만, 자기 관하의 도에 대해서 민정, 군정, 재정, 형정 등을 통할하여 지방행정상 절대적 권력을 행사하였으며, 관아의 수령을 지휘 감독하였다.
관찰사의 관아를 감영이라고 하며, 관원으로는 도사, 판관, 중군 등 중앙에서 임명한 보좌관이 있고,
일반 민정은 감영에 속한 이, 호, 예, 병, 공, 형의 6방에서 행하고, 이를 지방민에서 선출된 향리로 하여금
담당하게 하였다.
강원도 감찰사로는 조선 개국 초부터 19세기 말까지 512명이 재임하였고,
후대까지 이름을 알린 이로는 정철, 황희, 신희만, 윤사국 등이 있다.

원주시 룸싸롱 관광2

룸싸롱

밤에놀자

원주시 룸싸롱

홈으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